프레임데이터 통신망에서 하나의 블록 또는 패킷으로 전송되는 정보의 단위데이터 프레임은 망의 데이터 링크층 프로토콜에 의하여 정의되며 망 노드 간의 매체(선로)상에서만 존재함프레임은 다른 layer들에서는 다른 형식을 취하고, 데이터는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 및 끝 제어 정보 사이에 위치함프레임은 내부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①문자 프레임과 ②비트 프레임으로 나눔문자 프레임문자 프레임은 프레임의 내용이 문자로만 구성8비트 단위(또는 ASCII 문자 코드)의 고정 크기로 동작문자 프레임은 프레임의 내용이 문자로만 구성프레임구분프레임의 시작과 끝에 특수 문자를 사용하여 구분하는데 시작에는 DLE/STX가 나오고 끝에는 DLE/ETX를 두어 프레임을 다른 정보와 구분하지만 데이터 안에도 DLE/STX나 DL..
BURROW
데이터 전송 방식컴퓨터 네트워크 효과자원 공유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모든 종류의 물리적, 논리적 자원을 공유자원 활용의 극대화자원공유 목표: 모든 프로그램과 통신장치, 특히 데이터를 이용하는 사용자나 물리적인 장소에 관계없이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사람이 자원을 사용하는 것병렬 처리에 의한 성능 향상하나의 공유 시스템 버스에 다수의 메인 프로세서를 장착I/O 장치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I/O 전용 프로세서를 설치다수의 연산장치나 프로세서, 기억장치를 상호 결합하여, 고속성·신뢰성 및 확장성의 향상을 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 처리방식병렬처리 트랜드: 범용 컴퓨터의 고속화가, 논리 구성 방식이나 하드웨어 기술(디바이스 기술이나 실장기술)의 개선에서는 점점 곤란해지고, 병렬처리에 의한 고속화..
통신 오류 검출수신 측으로 전송한 데이터는 송신 측의 데이터와 동일해야 하지만, 다양한 원인 때문에 데이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네트워크 통신을 하려면 오류를 검출·수정해야 함오류의 종류에는 단일 비트 오류, 다중 비트 오류, 집단 오류가 있음단일-비트 오류 (Single-bit Error)데이터 단위 중 하나의 비트만 변경하는 오류다중-비트 오류 (Multiple-bit Error)데이터 단위 중 두 개 이상의 비연속적인 비트를 변경하는 오류집단 오류 (Burst Error)데이터 단위 중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연속적인 비트를 변경하는 오류송신 측이 보내려는 데이터 외에 별도로 잉여(중복)분의 데이터를 추가해서 전송하면 수신 측은 이 잉여 데이터를 검사하여 오류를 검출할 수 있..
LAN 통신 방식서버: 다른 컴퓨터에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클라이언트: 서버에서 보내주는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컴퓨터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서버가 클라이언트(사용자)한테 요청 받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LAN 통신 방식유니캐스트: 가장 많이 사용하는 통신 방식으로 수신지 주소(MAC 주소)를 적어 특정 컴퓨터에만 전송브로드캐스트: 영역 안에 있는 모든 컴퓨터에 한 번에 다 전송멀티캐스트: 유니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의 장점을 결합하여 특정 그룹 컴퓨터에만 한 번에 데이터를 전송그룹 이외의 컴퓨터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유니캐스트 (Unicast)네트워크에서 가장 많이 사용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일대일(1:1) 통신 방식예시데이터를 송신하려는 컴퓨터의 MAC 주소를 90-2B-35-91-E0..
슈퍼키, 후보키, 기본키, 대체키슈퍼키와 후보키의 구분슈퍼키 (super key)유일성을 갖지만 최소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애트리뷰트 집합하나의 키 값으로 하나의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애트리뷰트들의 조합후보키 (candidate key)유일성과 최소성의 2가지 특징을 모두 만족하는 애트리뷰트의 집합유일성: 릴레이션에 있는 모든 튜플에 대해 키 값이 모두 다른 경우최소성(비분해성): 키에 속하는 애트리뷰트 집합 K중에서 어떤 애트리뷰트 하나라도 제외할 때 키의 유일성이 없어지는 키의 성질을 갖는 것후보키의 슈퍼집합은 슈퍼키예시슈퍼키 (유일성만 만족)학번+주민번호, 학번+이름, 학번+주소, 학번+전공, 주민번호+이름, 주민번호+주소, 주민번호+전공후보키 (유일성과 최소성 모두 만족)학번, 주민번호..
관계 데이터 구조관계 데이터의 특성테이블 형태(tabular form)의 구조로 모든 데이터를 표현이론적으로는 수학적인 릴레이션(mathematical relation)을 기초로 함테이블의 행(row)은 튜플(tuple), 테이블의 열(column)은 애트리뷰트(attribute)로 표현연산수행이 한 번에 한 행을 접근하는 방식(row-at-a-time)이 아닌 한 번에 하나의 레코드 집합을 접근하는 방식(set-at-a-time)애트리뷰트 (attribute)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속성의 유일한 식별을 위해 속성의 명칭은 유일도메인 (domain)하나의 애트리뷰트가 취할 수 있는 같은 타입의 원자(atomic)값들의 집합같은 도메인의 값만 비교 허용릴레이션 (Relation)릴레이션 R의 수학적 개념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