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컴퓨터네트워크

통신 오류 검출수신 측으로 전송한 데이터는 송신 측의 데이터와 동일해야 하지만, 다양한 원인 때문에 데이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네트워크 통신을 하려면 오류를 검출·수정해야 함오류의 종류에는 단일 비트 오류, 다중 비트 오류, 집단 오류가 있음단일-비트 오류 (Single-bit Error)데이터 단위 중 하나의 비트만 변경하는 오류다중-비트 오류 (Multiple-bit Error)데이터 단위 중 두 개 이상의 비연속적인 비트를 변경하는 오류집단 오류 (Burst Error)데이터 단위 중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연속적인 비트를 변경하는 오류송신 측이 보내려는 데이터 외에 별도로 잉여(중복)분의 데이터를 추가해서 전송하면 수신 측은 이 잉여 데이터를 검사하여 오류를 검출할 수 있..
LAN 통신 방식서버: 다른 컴퓨터에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클라이언트: 서버에서 보내주는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컴퓨터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서버가 클라이언트(사용자)한테 요청 받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LAN 통신 방식유니캐스트: 가장 많이 사용하는 통신 방식으로 수신지 주소(MAC 주소)를 적어 특정 컴퓨터에만 전송브로드캐스트: 영역 안에 있는 모든 컴퓨터에 한 번에 다 전송멀티캐스트: 유니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의 장점을 결합하여 특정 그룹 컴퓨터에만 한 번에 데이터를 전송그룹 이외의 컴퓨터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유니캐스트 (Unicast)네트워크에서 가장 많이 사용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일대일(1:1) 통신 방식예시데이터를 송신하려는 컴퓨터의 MAC 주소를 90-2B-35-91-E0..
네트워크 접속 형태전송매체와 프로토콜이 결정되면 다양한 형태로 컴퓨터를 구성할 수 있음네트워크의 구성을 ‘네트워크 토폴로지’라고도 함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노드와 링크가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식을 말함노드: 네트워크에 연결된 주소가 있는 통신장치컴퓨터, 프린터, 복합기 등이 하나의 노드가 될 수 있음링크 하나에 2개 이상의 노드가 연결되며, 2개 이상의 링크가 접속 형태를 구성네트워크 접속 형태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 노드의 물리적인 배열이 아닌 상호 연결 방법을 보여줌성형가장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 형태허브가 네트워크 중앙에 위치하여 다른 모든 노드를 연결모든 노드가 중앙의 허브에 연결되어 통신하므로 통신망의 처리 능력과 신뢰성은 허브가 좌우성형 접속 형태의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케..
네트워크 구성 요소PC (컴퓨터나 서버)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핑을 하거나 이메일을 주고받으면서 네트워크를 사용카카오톡으로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인스타그램에 다양한 사진을 업로드웹 브라우저나 카카오톡, 인스타그램은 모두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이며 이 밖에도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있으며 네트워크를 사이에 두고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네트워크 접속장치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스위치와 라우터가 있음스위치: 한 네트워크 내부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장치이며, 컴퓨터를 스위치에 연결하는 것은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과 같은 의미라우터: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구분 짓고 연결하는 장치대부분의 집은 네트워크가 하나뿐이지만 기업의 사내 네트워크에는 ..
통신 프로토콜의 개념프로토콜 (Protocol):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통신 규약 및 약속프로토콜의 기본 요소구문 (Syntax):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Format), 부호화(Coding), 신호 레벨(Signal Level) 등을 규정의미 (Semantics): 두 기기 간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시간 (Timing): 두 기기 간 통신 속도, 메시지 순서 제어 등을 규정프로토콜의 구성물리적 측면: 자료 전송에 쓰이는 전송매체, 접속용 단자 및 전송 신호, 회선 규격 등물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논리적 측면: 프레임(Frame) 구성, 프레임 안에 있는 각 항목의 뜻과..
정보통신 시스템정보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계)역할: 데이터를 전송하는 여할구성: 단말장치, 정보전송 회선(신호 변환장치와 통신회선), 통신 제어장치정보처리 시스템 (데이터 처리계)컴퓨터(CPU, 기억장치, 입출력 장치), 주변기기정보통신 시스템의 기능별 분류정보전송 시스템: 정보전달 (데이터 전송계)단말장치: 정보의 입력과 수신신호변환 장치: 변조, 복조통신회선: 변환된 신호의 이동 통로나 통신망통신 제어장치: 컴퓨터와 모뎀 사이에 위치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좋은 형식으로 변환정보처리 시스템: 정보가공, 처리, 보관 (데이터 처리계)중앙처리장치: 컴퓨터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가공, 처리, 축적, 수정, 변경, 추가기억장치 & 입출력 장치: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입출력 장치로..
김캣치
'Study/컴퓨터네트워크'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