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럽트어원상 끼어들기라는 의미시스템 내의 어떤 장치가 인터럽트 요구신호를 CPU에게 전달하면, CPU는 현재 일을 잠시 중단하고 하던 실행을 기억하게 돼 인터럽트를 발생시킨 장치의 요구 작업을 수신 진행하는 방식임중앙처리장치가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처리를 잠제적으로 중단시키고, 특정 주소에 위치한 프로그램(ISR)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인터럽트라고 함이 과정에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중요 데이터(PC)는 주기억장치(스택)에 저장되고, 새롭게 시작한 프로그램이 종료된 다음 실행됨인터럽트를 처리하기 위해 실행되는 새로운 프로그램 루틴을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 Interrupt Service Routine)이라고 함인터럽트에 의한 제어이동인터럽트가 발생하면 CPU는 먼저 어떤 장치가 인터럽..
주소지정방식Addressing Mode명령어 형식에 포함된 오퍼랜드부에 존재하는 정보를 이용해 피연산자를 찾아내는 방법다양한 주소 지정 방식을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하고 있음주소: 저장된 데이터의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각 바이트나 워드 단위로 2진수로 일련번호를 부여한 고유번호주기억장치에서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주기억장치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알아야 함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비트 수(워드의 크기)는 명령어 길이에 제약을 주게 됨CPU의 주소지정 능력에 한계를 두게 됨주소지정방식이 다양한 이유: 제한된 명령어 비트들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오퍼랜드를 지정하고 더 큰 용량의 기억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주소지정방식의 효과포인터, 카운터 인덱싱 등을 통..
명령어 집합Instruction SetCPU가 수행할 동작을 정의하는 2진수 코드로 된 명령들의 집합기계 명령어라고도 부르며 일반적으로 어셈블리 코드 형태로 표현명령어 집합은 CPU의 사용 목적, 특성에 따라 결정됨명령어 집합 설계를 위해 결정되어야 할 사항들연산 종류: CPU가 수행할 연산들의 수와 종류 및 복잡도 등을 결정해야 함데이터 형태: 연산을 수행할 데이터들의 형태, 데이터의 길이(비트 수), 수의 표현 방식 등을 고려해서 명령어들을 만들어야 함명령어 형식: 명령어의 길이, 오퍼랜드 필드들의 수와 길이 등을 고려함주소 지정 방식: 피 연산자의 주소를 지정하는 방식을 고려해야 함명령어 집합의 특성명령어 형식연산 코드 (Operation Code)수행할 연산을 지정하는데 연산자라고도 함함수 연산 ..
프로그래밍 언어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리기 위해 설계된 언어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저급 프로그래밍 언어로 나뉨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문법이 인간의 언어 체계와 유사하여 프로그램 작성하기가 용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의 형태)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에 의해 기계어로 번역되어 실행됨인터프리터: 고급 언어로 작성된 원시코드 명령어들을 한번에 한 줄씩 읽어들여서 실행하는 프로그램대표적인 고급 언어: 포트란, 파스칼, 코볼, C, 자바 등기계어컴퓨터가 직접 해독할 수 있는 2진 숫자로 표현한 언어컴퓨터 명령 형식은 기계어이며, 컴퓨터는 이 기계 명령어를 해독하여 동작을 수행함기계어의 명령 단위는 어떤 동작을 지시하는 명령 코드부와 동작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어디에 있는지를 지시하는 주소부로 나누..
컴퓨터 버스버스: CPU와 주기억장치, 외부의 입출력장치 간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공용으로 사용하는 전기적 통로데이터 버스실질적인 정보 데이터를 전달하는 버스양방향성 버스데이터 버스폭(선들의 수) = CPU와 기억장치 사이 한 번에 전송되는 비트 수주소 버스각 장치의 주소나 기억장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들이 지나가는 버스단방향성 버스 (CPU → 기억장치 및 I/O 제어기)주소 버스의 비트수에 의해 접근 가능한 전체 기억장치 용량이 결정됨제어 버스수행될 다양한 데이터 전송 동작을 구별하기 위한 신호들이 지나가는 버스양방향성 버스버스의 형태연결되는 장치에 따라서 3가지 형태가 존재함내부 버스컴퓨터 시스템 내의 칩들 사이에 신호를 전달하는 전형적인 내부 버스외부 버스주변장치들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입출력장치입력: CPU가 외부에서 정보를 받아들이는 과정출력: CPU가 외부로 정보를 내보내는 과정입출력 처리: CPU가 입출력장치와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입력장치문자, 기호, 소리, 동영상 정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2진 코드로 변환시켜, 주기억장치에 저장하거나 CPU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키보드, 지시장치, 원시 데이터 입력장치키보드문자, 숫자, 특수문자 키들을 통해서 입력을 발생시키고 방향키와 기능키를 통해서 수정과 편집을 쉽게 할 수 있는 가장 널리 이용되는 입력장치기계식 키보드(스프링 방식), 멤브레인 키보드(비스프링 방식) 등1975년부터 PC에 사용되기 시작101 키보드가 가장 기본지시장치마우스: 커서의 이동이나 영역을 지정할 수 있고 아이콘을 선택하고 메뉴를 실행할 수 있는 입력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