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 집합 A, B에 대해 집합 A에서 B로 가는 관계가 성립할 때, 집합 A의 원소 a에 대해 집합 B의 원소 b 하나가 대응되는 관계
- 원상: 집합 B의 원소 b에 대응하는 집합 A의 원소 a
- 상: 집합 A의 원소 a에 대해 대응되는 집합 B의 원소 b : f(a)
- 정의역: 원상의 집합, 집합 A : dom(f)
- 공역: 상에 대한 전체집합, 집합 B : codom(f)
- 치역: 상의 집합, 집합 B의 부분집합 : ran(f) = {f(a) | a ∈ A}
관계와 함수의 차이
집합 A에서 집합 B로의 | |
관계 | 함수 |
집합 A(정의역)의 어떤 원소는 집합 B(공역)의 원소와 대응하지 않거나 하나 이상의 원소와 대응할 수 있음 | 집합 A(정의역)의 모든 원소는 집합 B(공역)에서 하나의 원소와 반드시 대응해야 함 |
단사함수
- Injective Function, Injection, 일대일 함수
- 함수 f: X→Y가 있을 때, 임의의 두 정의역 원소 x₁, x₂∈X에 대해 x₁ ≠ x₂이면, f(x₁) ≠ f(x₂)인 함수
- |dom(f)| ≤ |codom(f)|
- |ran(f)| ≤ |codom(f)|
- 정의역의 모든 원소들이 서로 다른 공역 원소와 대응하는 함수
전사함수
- Subjective Function, Subjection, 반영 함수
- 함수 f: X→Y가 있을 때, 모든 공역 원소 y∈Y에 대해, f(x) = y인 정의역 원소 x∈X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는 함수
- |dom(f)| ≥ |codom(f)|
- |ran(f)| = |codom(f)|
- 공변역의 모든 원소들이 한 개 이상의 정의역 원소들과 대응하는 함수
전단사함수
- Bijective Function, One-to-one Correspondence, 일대일 대응
- 단사함수이면서 전사함수인 함수
- |dom(f)| = |codom(f)|
- |ran(f)| = |codom(f)|
- 한 개의 정의역 원소가 한 개의 공역 원소와 서로 대응하는 함수
합성함수
- Composition Function, g ৹ f
- 두 함수 f : A → B와 g: B → C가 있을 때, 집합 A의 각 원소를 집합 C의 원소에 대응하는 새로운 함수
합성함수의 특성
- 집합 A, B, C가 있고 f : A → B, g: B → C에 대해 g ৹ f가 합성함수일 경우
- ① f와 g가 단사함수이면 g ৹ f도 단사함수
- ② f와 g가 전사함수이면 g ৹ f도 전사함수
- ③ f와 g가 전단사함수이면 g ৹ f도 전단사함수
- ④ g ৹ f가 단사함수이면 f도 단사함수
- ⑤ g ৹ f가 전사함수이면 g도 전사함수
- ⑥ g ৹ f가 전단사함수이면 f는 단사함수이고, g는 전사함수
항등함수
- Identity Function
- 집합 A에 대한 함수 f : A → A가 f(a) = a로 정의되는 관계
- 항등함수는 정의역의 원소 x₁, x₂가 x₁ ≠ x₂ 일 때, f(x₁) ≠ f(x₂) 이므로 단사함수
- 모든 공역 원소 y에 대해 f(x) = y를 만족하는 정의역 원소 x를 가지므로 전사함수이므로 항등함수는 전단사함수
역함수
- Inverse Function
- 전단사함수 f : A → B에 대해 B → A로 대응되는 관계
- a∈A, b∈B에 대해 f(a) = b일 때, f⁻¹(b) = a
- f(a): 가역함수
- f⁻¹(b): 역함수
- 역함수와의 합성함수는 항등함수
- (g ৹ f)⁻¹ = f⁻¹ ৹ g⁻¹
상수함수
- Constant Function
- 함수 f : A → B에서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집합 B의 원소 하나에만 대응되는 관계
- ∀a∈A, ∃b∈B에 대해 f(a) = b
- 상수함수 f : A → B의 경우 정의역의 모든 원소 x₁, x₂∈A에 대해 x₁ ≠ x₂여도 f(x₁) = f(x₂) = y이므로 단사함수가 성립하지 않음
- 단 하나의 공역 원소를 제외하고 그 외의 y∈B에 대해 f(x) = y를 만족하게 하는 x∈A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사함수도 아님
- 하지만 공역의 기수가 |B| = 1인 경우는 전사함수의 특성을 가짐
특성함수
- Characteristic Function
- 관계행렬과 같이 어떤 집합에 원소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하는 함수
- 이 함수의 공역은 입력에 대응하는 출력이 있다는 의미의 1과 없다는 의미의 0만 존재
바닥함수
- Floor Function
- x∈R에 대해 x와 같거나 x보다 작은 정수들 중 가장 큰 정수를 대응하는 함수
- ⌊x⌋ ↔ n ≤ x < n+1, n∈Z
천장함수
- Ceiling Function
- x∈R에 대해 x와 같거나 x보다 큰 정수들 중 가장 작은 정수를 대응하는 함수
- ⌈x⌉ ↔ n-1 < x ≤ n, n∈Z